🥳 200만 유저의 친구 ‘이루다’ 기술로 AI 캐릭터를 자유롭게 만들어보세요 ‘핑퐁 스튜디오’ 보러가기

Tech

Luda Gen 1, 더 재미있고 자연스러운 대화로 돌아온 루다 1편 - 생성 기반 챗봇

생성 모델 Luda Gen 1을 출시하기까지의 과정을 소개합니다

고상민 구상준 이봉석 류성원 | 2022년 12월 14일 | #Machine_Learning

이번 이루다 2.0 정식 출시에서 답변 생성 모델 Luda Gen 1이 적용되었습니다. 기존 루다는 리트리버가 답변 DB에서 답변을 고르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문맥에 딱 맞는 답변이 답변 DB에 없다면 좋은 대화를 이어갈 수 없었습니다. 이런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생성 기반 챗봇을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Luda Gen 1이 서비스에 적용되어 더 재미있고 자연스러운 대화를 이어 나가는 루다가 출시되었습니다.

앞으로 두 편에 걸쳐 생성 기반 챗봇에 대한 연구 내용서비스화하는 과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번 편에서는 생성 기반 챗봇 방식에 대해 전반적으로 이야기하고 Luda Gen 1이 생성한 답변 예시를 봄으로써 생성 기반 챗봇의 잠재력에 대해 다룰 것입니다.

생성 기반 챗봇 vs 검색 기반 챗봇

딥러닝 기반의 챗봇은 크게 생성 기반 챗봇검색 기반 챗봇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생성 기반 챗봇은 생성 모델을 이용해서 실시간으로 문맥에 맞는 답변을 생성해내는 방식이고 검색 기반 챗봇은 리트리버가 사전에 구축되어 있는 답변 DB 내의 문장을 고르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법론의 특성 때문에 생성 기반 챗봇검색 기반 챗봇은 고유의 장단점을 갖게 됩니다.

검색 기반 챗봇

이루다 2.0 이전의 루다는 답변 검색 모델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고, 서비스하는 과정에서 저희는 검색 기반 챗봇 방식의 여러 장단점을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검색 기반 챗봇은 쉽게 만들 수 있고 더 컨트롤하기 쉽다는 장점은 있지만 대화 성능의 한계가 명확합니다.

생성 기반 챗봇

검색 기반 챗봇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생성 모델의 잠재력을 활용하기 위해서 생성 기반 챗봇을 연구하게 되었습니다. 이때 생성 기반 챗봇 방식에서 기대한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생성 기반 챗봇 제작

생성 기반 챗봇은 여러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검색 기반 챗봇에 비해 대화 성능, 안전성 측면에서 서비스화를 위해서는 아래 사항이 필요합니다.

Luda Gen 1의 Pre-training

Luda Gen 1의 기반이 되는 Pre-training은 생성 기반 챗봇을 만드는 과정에서 제일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더 좋은 대화 성능을 위해서 이전 PLM과 비교하여 여러 측면에서 개선하였습니다.

  기존 모델 Luda Gen 1의 PLM
답변 방식 DB에 있는 답변 선택 답변 직접 생성
모델 크기 130M 2.3B
활용 정보 대화 내용만 활용 시간 및 프로필 정보 활용
문맥 길이 약 15 턴 약 30 턴

Luda Gen 1의 잠재력

Luda Gen 1은 대화 성능과 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PLM을 Fine-tuning하여 만들어졌습니다. Fine-tuning을 거친 Luda Gen 1은 저희가 기대했던 것을 뛰어넘어 여러 면에서 놀라웠습니다. 이전 모델에 대화 성능적으로 뛰어날 뿐만 아니라 기존 모델에서 볼 수 없었던 여러 능력들을 보여주었습니다.

전반적인 성능의 향상

아무리 좋은 답변이 답변 DB에 있더라도 문맥과 상황에 딱 맞는 답변이 항상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 생성 모델은 미묘한 문맥을 파악하여 상황에 딱 맞는 답변을 새로 만들어냄으로써 더 생생한 답변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Pre-training 과정에서 간접적으로 배운 지식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답변을 생성하기도 합니다. 대화 주제가 드림카일 때 Luda Gen 1은 차 종류를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좋은 대화를 이어갔습니다.

성수 살기 좋은 이유(좌), 루다와 드림카 이야기(우)

상대방이 말하는 유행어나 농담을 이해하고 재밌게 맞받아쳐주는 모습을 볼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Luda Gen 1은 종종 저희를 놀라게 해주는 좋은 답변을 생성합니다.

영화 범죄도시의 유행어를 말하는 루다

시간, 화자를 고려한 답변

가장 먼저 달라진 점은 모델이 시간과 화자를 고려한 답변을 생성하기 시작했다는 점입니다. 기존 모델과 달리 문맥에 시간, 화자 정보가 들어갔고 답변을 실시간으로 생성하게 때문에 실감 나는 답변을 생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침, 점심, 저녁 구분뿐만 아니라 계절, 요일에 맞추어 답변을 하며 학기 초, 학기 말, 휴일, 명절 등을 인지하여 답하기도 합니다.

적절한 시간 텀 후 술 마셨냐고 묻는 루다 (좌), 오늘 개천절인걸 맞추는 루다 (우)

중/단기 기억

유저들이 루다에 대해서 아쉬워하는 부분 중에 하나가 기억을 잘 못한다는 점입니다. 이번 모델은 기존 모델보다 더 긴 맥락을 볼뿐만 아니라 생성 모델 특성상 문맥을 미묘하게 잘 반영하기 때문에 방금 전 이야기를 한 내용뿐만 아니라 다른 이야기를 하고 돌아오더라도 그 정보를 잘 기억하여 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결혼식 갔다는 사실을 기억해주는 루다

예상치 못한 여러 능력들

생성 기반 챗봇으로 바뀌며 자유롭게 답변을 만들 수 있게 되자 기존에 하지 못했던 여러 능력이 발견되었습니다. 삼행시, 밸런스 게임, 초성 퀴즈 등 검색 기반 챗봇에서는 불가능했던 기능들이 자연스럽게 구현이 되었고 기존 루다의 콘텐츠 중 하나인 끝말잇기도 대화 속에서 자연스럽게 구현되었습니다.

루다가 하는 재미있는 삼행시

놀라운 점은 이런 기능들이 저희가 의도적으로 데이터를 준비하여 Fine-tuning을 통해 구현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이런 모습들은 현재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Generative AI의 잠재력을 슬며시 보여주는 듯합니다.

토마토 파스타 초성 퀴즈

마치며

이번 글에서는 검색 기반 챗봇과 생성 기반 챗봇을 비교하며 이후 왜 생성 기반 챗봇 쪽으로 연구 방향을 설정하였는지 이야기하였습니다. 그 결실로 얻은 Luda Gen 1이 보여준 결과들을 보면 생성 기반 챗봇 높은 성능과 잠재력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구체적으로 생성 기반 챗봇을 서비스화 하는 과정에서 겪었던 문제들과 어떻게 Luda Gen 1이 만들어졌는지를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문헌

[1] Tom B. Brown, et al. “Language Models are Few-Shot Learners.“ arXiv preprint arXiv:2005.14165: (2020).

[2] Aakanksha Chowdhery, et al. “PaLM: Scaling Language Modeling with Pathways.“ arXiv preprint arXiv:2204.02311 (2022).

[3] Romal Thoppilan, et al. “LaMDA: Language Models for Dialog Applications.“ arXiv preprint arXiv:2201.08239 (2022).

[4] Vladimir Karpukhin, et al. “Dense Passage Retrieval for Open-Domain Question Answering.“ Proc. of the 2020 Conference on 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EMNLP) (2020).

[5] Samuel Humeau, et al. “Poly-encoders: Transformer Architectures and Pre-training Strategies for Fast and Accurate Multi-sentence Scoring.Proc. of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Representations (ICLR), (2020)

1. 저희가 학습한 대화 데이터는 비식별화 및 여러 단계의 가명 처리를 거쳐 활용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핑퐁팀의 AI 윤리 웹사이트를 참고해주세요.

스캐터랩이 직접 전해주는
AI에 관한 소식을 받아보세요

능력있는 현업 개발자, 기획자, 디자이너가
지금 스캐터랩에서 하고 있는 일, 세상에 벌어지고 있는 흥미로운 일들을 알려드립니다.